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동은 기자 나와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, '21대는 달라?' 인데요, 오늘 처음 문 연 21대 국회가 달라진 점이 있나요? <br><br>여야 간 힘겨루기는 여전했지만 일부 달라진 점도 있습니다. <br> <br>미래통합당 김예지 의원의 안내견 조이가 본회의장에 들어가는데요. <br> <br>본회의장 출입이 안 됐는데 국회가 허용하기로 결정하면서, 조이는 오늘 본회의장에서 김 의원 곁을 지켰습니다. <br> <br>[이동은 기자] <br>"오늘 조이랑 본회의장 같이 가셨는데 어떠셨어요?" <br> <br>[김예지 / 미래통합당 의원] <br>"에이 뭐, 예 그렇습니다." <br><br>Q. 이 기자가 오늘 국회에 다녀왔는데 가장 달라진 점 뭐였나요? <br><br>여야 의석수의 변화였습니다. 민주당 의원 177명이 본회의장에 들어가는데 인원이 많다보니 한참 걸렸습니다. <br> <br>반면에 미래통합당은 본회의 직전까지 의원총회를 하면서 심각한 표정으로 대책을 논의했지만, 본회의장에 들어갔다 나오는 거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딱히 없었습니다. <br> <br>비장한 듯 했지만, 막상 본회의장에서는 손하트를 만들고 인증샷을 찍는 통합당 의원들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Q. 통합당도 무조건 막는 게 부담이 됐을 것 같은데, 본회의를 보이콧한 가장 큰 이유가 뭡니까? <br><br>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자리 때문입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법사위가 검찰과 사법 개혁 등을 다루는 상임위이기 때문에 절대 양보할 수 없고, 통합당은 모든 법안들이 마지막에 거쳐가는 곳이기 때문에 역시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Q. 당선되자마자 논란에 휩싸였던 의원들도 첫 본회의에는 참석했죠? <br><br>네,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와 갈등을 빚고 있는 윤미향 민주당 의원과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더불어시민당에서 제명된 양정숙 무소속 의원인데요. <br> <br>나란히 걷고 있지만, 윤 의원은 민주당이 지켜주고 양 의원은 당이 제명하고 고발까지 한 상반된 처지입니다. <br> <br>Q. 과연 이번 국회는 다를지 지켜보겠습니다. 다음 주제 보시죠. ‘또 오해영’드라마가 있었는데요. 당에서 쓴소리를 하는 김해영 민주당 최고위원, 또 이야기를 했죠? <br><br>여기서 ‘또’가 중요합니다. 미스터 쓴소리로 활약하는 김해영 최고위원, 오늘은 본인도 당도 괴로워하는 모습까지 보였습니다. <br> <br>Q. 박광온 최고위원 표정을 보니까 불편한 분위기가 짐작이 되네요. 그런데 ‘또 김해영’에 결국 폭발한 사람이 있었다면서요? <br><br>이해찬 대표인데요. 결국 터졌습니다. <br> <br>김해영 최고위원의 발언을 들은 이해찬 대표, 회의를 마치기 직전에 마이크를 다시 잡았습니다. <br><br>예정에 없었던 일인데 들어보시죠. <br> <br>[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"제가 전당대회 이후에 1년 지금 2년 다 돼가고 있는데 단 한 번도 비민주적으로 당을 운영해본 적이 없습니다. 그건 제가 정치하면서 기본입니다." <br><br>금태섭 전 의원 징계 논란을 자제하라고 했지만, 또 얘기가 나오자 불쾌한 심경을 드러낸 겁니다. <br> <br>Q. 당 이름에 '민주'가 들어가는데 민주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을 계속 듣고만 있을 수는 없었겠죠. 김해영 최고위원이 낙선을 했잖아요. 이 쓴소리 언제까지 들을 수 있는 겁니까? <br><br>새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가 8월 말에 열려서 그 때까지는 최고위원직을 유지합니다. <br> <br>Q. 한 목소리를 내야할 때도 있지만 그렇다고 당내 다양한 의견이 아예 무시되어서도 안될 것 같습니다. 지금까지 여랑 야랑이었습니다.